6.17 부동산 대책 핵심 요약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 규제를 위해서 정부가 아파트 수요 억제를 더욱 강화 했습니다.
주택 구입을 위한 실 수요자들에게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이번 대책, 3가지 요약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대책은 발표할 때마다 풍선효과가 발생해서 지적이 많았는데요.
과감한 수요억제 대책으로 풍선효과도 차단하고자 이번 대책을 마련한 것 같습니다.
6.17 부동산 대책 3가지 요약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
1. 주택담보대출강화
무주택자 : 6개월 내 전입신고
- 규제지역 내 주택을 구입하면 주택 구입가격에 관계없이 6개월 내 전입신고를 해야합니다.
1주택자 : 6개월 내 전입, 기존주택 처분
- 규제지역 내 주택을 구입하면 6개월 내 기존 주택을 처분하고 신규주택에 전입해야 합니다.
2. 갭투자 방지 (전세자금대출 회수)
전세대출을 받은 후 투기지구, 투기과열지구 내 3억원 초과 아파트를 구입하면 전세자금 대출을 즉시 상환, 또는 회수됩니다.
3. 법인 투기수요 근절
주택 구입 및 양도세에 대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 개인들이 1인 법인 설립을 통해 주택을 구입했습니다.
정부가 법인 주택 구입 규제책을 내놓았습니다.
1. 주택 매매, 임대사업자 대출 규제 강화 : 법인 주담대 금지
- 법인이 규제 및 비규제 지역 포함된 주택을 매매 시 주택 담보대출 금지입니다.
2. 법인 세제 강화
- 법인 보유 주택에 대한 종부세 인상
- 개인 최고 세율 적용 ( 2주택 이하는 3%, 3주택 이상은 4% 종부세 적용)
3. 법인 보유 주택 종부세 공제 (6억원) 폐지
- 현재 개인, 법인 별 6억원 공제 (1세대 1주택은 9억원 공제) 되었으나 2021년부터 법인 보유 주택 모두 종부세 공제를 폐지합니다.
- 법인 조정대상지역 내 신규 임대주택 종부세 과세
4. 법인 보유 주택 양도시 추가세율 인상 : 10%에서 20%로 인상
법인 주택 양도차익은 법인세율(10~25%)에서 10% 추가적용 이었으나 2021년 1월1일부터 법인 보유 주택 양도시 추가세율은 20% 인상합니다.
5. 법인 거래 조사 강화 : 자금 조달계획서 제출
- 모든 법인 주택 거래시 자금 조달계획서 제출 의무화
한마디로.. 자금이 있는자만 주택을 살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자금이 부족한 자는 대출을 받아 구입 시 6개월 내 입주해야 하며,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증빙자료를 제출, 1주택자는 전세대출보증으로 2억까지만 빌려줍니다.
법인으로 주택 구입 시 종부세, 양도세 인상,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화 입니다.
자금이 부족한 자는 대출받아서 집사기가 어려워지고 현금 부자들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더 높아졌네요.
이번 부동산대책. 그리고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부동산시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지켜 봐야겠습니다.
이상 6.17 부동산 대책 핵심요약이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개발호재 겹치며 상승폭 확대
서울 아파트값, 개발호재 겹치며 상승폭 확대…6.17 부동산대책 반영은 아직...

文정부 초강력 6‧17대책…갭투자 줄지만 풍선효과 여전
정부가 17일 부동산 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자 풍선효과와 갭투자를 막기 위한 6‧17 부동